전략의 귀재들 곤충 For Love of Insects 1부
토머스 아이스너Thomas Eisner 지음 - 김소정 옮김 - 삼인
 

아하! 이렇게 저평가 된 책이 있을 수 있다니 정말로 보물을 캐낸 기분이다. 대다수의 곤충 관련 책이 어린이들을 위해 꾸며져있어 어른들의 시각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 도서는 내용도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연구결과와 따뜻한 지은이의 마음까지 접할 수 있어서 몹시나 재미난다.

게다가 초접사 수준의 정밀한 사진이 곁들여져서 뭐하나 나무랄데가 없다. 그런데 그 흔한 서평이 한 줄도 보이지를 않는다. 바로 이점, 한줄 논평조차 없다는 것이 마치 내가 최초로 리뷰를 작성하기 위해 조물주가 --혹은 곤충의 수호신이나 어떤 인연이-- 배려해 놓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필자는 모든 물건에는 임자가 있다고 믿는다. 이 우주에는 어떤 보이지 않는 힘과 의식이 있어서 우리는 그걸 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고차원적인 느낌을 처음 경험한 것은 군에서 전역한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였다. 나는 청소년기에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초현실주의surrealism 예술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었다.

빈대떡 처럼 늘어져 흘러내릴 듯한 반쯤 접혀진 시계와 투우사의 주위로 현란하게 움직이는 파리떼와 맹렬한 들소. 유방 한 쪽을 쥐어짜듯 움켜진 바싹마른 뼈다귀와 그 위에 걸쳐진 시커먼 해골의 기괴한 모양. 쉬르레알리즘 기법은 정말로 충격이었다.

그리하여 달리의 일대기를 다룬 '나는 천재(90년대 초반에 출판되어 현재는 구할 수 없음)' 라는 서적이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꼭 사고야 말리라 결심을 했다. 그러나 입대를 얼마 앞둔 상황이라 잠시 잊어버리고 있었다. 자대 배치후 어느 정도 적응이 된 상황에서 휴가를 나가는 고참에게 부탁하여 구입하려 했으나 뜻대로 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제대후 --후우!! 내가 국빵부 얘기를 다시 꺼낼줄이야---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다시 찾아보기로 했다. 뭔가에 이끌리듯이 처음 들른 종로서적에서 그 책을 발견했다. 단칼은 예술 파트로 들어가 진열된 도서 중에서 화악~ 눈길을 잡아끄는 바로 그 녀석을 찾아냈다.

마치 나를 오랫동안 기다려왔다는 듯한 표정을 지으면서 덩그라니 놓여 있었다. 보아하니 수 년간 팔리지 않아서 이리뒹굴 저리뒹굴 하던 존재임이 분명했다. 계산대로 가서 값을 치르자 캐셔가 유심히 나를 지켜보는 것을 느꼈다. 몇 년동안 자리만 차지하느라 처치가 곤란한 책을 들어서자마자 막바로 집어든 것이 신기한 눈치였다.

말은 안했지만 그녀의 눈빛이 그렇게 말하고 있었다. 그때 내가 이성에 조금만 더 관심이 있었더라면 데이트라도 신청해봤을텐데, 오로지 한가지 대상만 염두에 두고 있어서 그러지를 못했다. 아뭏든 그 이후 놈은 내 책꽂이에 틀어박혀 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다. ^_^

바로 이러한 필링, 그 어느 누구도 서평을 작성하지 않은 이 책이 그 때의 느낌처럼 다가온다. 친구야 나는 너의 가치를 알고 있다. 같이 한번 서평 여행을 떠나보자.

 

 

제일 먼저 등장하는 곤충은 '폭탄먼지벌레bombardier beetle'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펑~ 하고 굉음을 내는 딱정벌레의 일종이다(과거에 우리나라에서는 방귀벌레라고도 불렀으며 번역자는 폭격수딱정벌레라고 표현을 했다. 그러나 현재는 폭탄먼지벌레라는 국명을 얻었다). 놈은 위험을 느끼면 꽁무니에서 화학물질을 방사한다.

이 분비물을 뒤집어 쓴 다른 포식자들은 아주 괴로워하면서 평생동안 다시는 거들떠도 보지 않는다. 때문에 녀석의 방구는 아주 효과적인 방어수단인 셈이다. 또한 분무하는 각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소리 또한 커서 인간의 귀로도 충분히 들을 수 있다. 처음 접하는 사람은 깜짝 놀랄 정도다.

더욱 놀라운 점은 항문에서 연기가 스르륵 피어오를 정도로 높은 열을 발산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하무적의 방어물질이기에 냄새도 고약하기 이를데 없다. 그러면 이 발견이 이루어지게 된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자. 당시까지 이 갑충의 생태가 밝혀진 것은 독일의 연구자인 '헤르만 쉴트크넥트Hermann Schildknecht' 와 그의 연구팀에 의해서다.

이 화학물질의 이름은 '벤조퀴논benzoquinone' 이다.
이들에 의하면 딱정벌레의 뱃속에는 효소(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분비하는 두 개의 분비샘이 있고, 이는 다시 융합실confluent chamber과 반응실reaction chamber 이라는 기관에 연결되어있다.

그리하여 분비선에서 나온 물질이 융합실에 이르면 강한 수축에 의해서 반응실로 뿜어져 내려간다. 이때 또 다른 두 가지 효소(카탈라아제catalases와 페록시다아제peroxidases)가 반응실에서 화학작용을 일으켜 격렬하게 폭발한다. 다시 말해, 전자는 과산화수소를 산소와 물로 분해하며, 후자는 하이드로퀴논을 벤조퀴논으로 바꿔놓는다.

그리고 이때 생성된 산소가 꽁무니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폭탄처럼 터지는 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기반으로 저자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공조하여 폭탄먼지벌레가 발사하는 액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특히나 이 부은 '대니얼 애너샌슬리Daniel Aneshansley' 라는 전자공학도의 도움이 컷다.

그는 실험실에서 --작가의 표현대로라면 귀신처럼 척척척-- 기발한 장치를 만들어 내었는데 그것이 바로 '서미스터thermistor(온도 변화에 따라 현저하게 저항치가 변하는 반도체)' 였다. 필자는 이런 발명가들을 보면 진심으로 감탄을 금치 못한다. 이전에는 없었던 무언가를 창조한다는 것은 정말 경이로운 일이다.

 

아뭏든 이 측정기계를 통해서 연구진은 딱정벌레가 발사하는 액체의 온도가 거의 섭씨 100도에 가깝다는 것을 알아낸다. 이 결과에 고무되어 실험자들은 그날 잠을 이룰 수 없었다고 한다. 바로 이러한 순간이 인생을 살맛나게 하고 연구에 몰입하게 만드는 것이다. 여기가 끝이 아니다.

대저, 어떤 분야에서나 대가라는 칭호를 받으려면 1등으로는 부족하다. 불광불급의 경지가 필요한 것이다. 또 다시 대니얼의 재능이 빛을 발했다. 그는 '마이크로칼로리미터microcalorimeter' 를 창조냈으며 이 장치를 이용해서 분비물의 열량을 정확하게 산출해낸다.

결과에 따르면 방어물질 1밀리그램당 0.22칼로리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는 이후 [사이언스] 지에 발표되었으며, 이 논문은 공중으로 발사되는 폭탄먼지벌레의 분비물 사진으로 표지를 장식하게 된다. 우리는 얼마전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조작사건으로 이 과학잡지의 위용을 잘 알고 있다. 이것이 바로 1966년의 일이었다.

불광불급의 경지 너머를 뭐라고 할까? 아마도 4차원이나 그 이상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노력은 계속된다. 이번에는 이 벌레가 벤조퀴논을 분출하는 순간을 사진에 담기로 했다. 이는 무려 수천 분의 1초에 해당하는 지극히 짧은, 말그대로 찰나의 순간인데, 역시 동료들의 도움을 받아 감탄을 자아내는 이미지를 얻는다.

 


 

차원을 뛰어 넘어 5차원을 탐험해보자. 새로운 인물, 제프리 딘Jeffrey Dean 이라는 연구자가 참가했는데 논문 주제는 두꺼비와 폭탄먼지벌레 사이에 벌어지는 포식자와 먹이의 관계였다. 그는 몇 차례의 정교한 관찰 끝에 뜨거운 온도가 이 곤충의 방귀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즉, 벤조퀴논이 비등점에 가까울 수록 두꺼비의 뇌에서 혀까지 자극을 전달하는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반전이 일어난다. '파나마왕두꺼비Bufo marinus' 라는 양서류가 폭탄먼지벌레의 천적이라는 사실이다. 아무도 건드릴 수 없는 언터쳐블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무력화 시키는 존재가 있다.

이와 같이 자연계는 모든 종마다 반드시 하나 이상의 천적이 관여하고 있다. 다만 그것을 우리가 모를 뿐이다. 녀석은 딱정벌레가 화학물질을 발사할 여유도 주지 않고 잽싸게 꿀꺽 삼켜버린다. 뱃속에 삼켜진 먼지벌레는 그 속에서 펑펑펑 폭탄을 터뜨리지만 --귀로 들을 수 있음-- 이미 소용이 없는 상태다.

실험자들은 5차원에 안주하지 않았다. 블랙홀을 통과하여 6차원의 세계로 넘어간다. 그들은 이 벌레가 방귀를 끼는 소리를 녹음하여 파장을 분석했다. 그러자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마치 따발총을 쏘는 듯이 '따다다다' 거리는 사운드를 내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 방어물질 발사는 한 번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마치 캐틀링건을 쏘는 듯이 아주 빠르게 연사를 하는 것이었다. 저자가 밝혔듯이 벤조퀴논은 한 사람의 독단적인 연구로 밝혀진 것이 아니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이룩해 낸 성과다. 이처럼 인류의 지식과 역사는 점진적으로 누적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따라서 각 학문분야에 칸막이를 두르고 소통하지 않으려 한다면, 그 발전은 매우 더딜 것이며 때로는 잘못된 편견으로 이끌 수도 있다. 그래서일까? 이 책의 추천사를 '통섭Consilience:The Unity of Knowledge (1998)' 의 저자 '에드워드 O. 윌슨Edward O. Wilson(하버드대 석좌교수)' 이 썼다.

여하튼 이러저러한 공동연구를 통해서 지은이는 1999년 미국 정부가 폭탄먼지벌레를 우표 도안으로 결정하고, 그 뒤에 쓸 문구를 작성하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도 여러 사람과의 인연이 있었음은 당연한 일이다. 자. 녀석의 모습을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99 USA 33센트 폭탄먼지벌레Bombardier beetle. 새창보기

 

자, 여기에서 잠시 쉬었다고 2부에서 다시 보자.

Since 1999 copyright by daankal.com, All right reserved.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음. 수정 안됨. 배포는 자유이나 반드시 출처를 밝히고 사용할것.

 


이전 전략의 귀재들 곤충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