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가 교미를 오래 하는 이유, 바로 이겁니다
고양시와 은평구 일대를 장악한 낯선 존재, 러브버그에 대한 모든 것 -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매년 생각치도 못했던 여러 곤충이 이상 증식하여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준다. 장맛비가 지나간 며칠 사이에 사랑벌레(lovebug) 이슈가 온라인 세상을 달구고 있다. 은평구와 고양시 일대에 러브버그가 창궐하여 시민들의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검은 벌레의 정체는 털파리과(Bibionidae)에 속한 계피우단털파리(Penthetria japonica)로서 짝짓기를 하며 떨어지지 않고 있는 모습에서 'lovebug'라는 별칭으로 불리운다.

교미 시간을 오래 끄는 이유는 수놈이 자신의 DNA를 남기기 위한 이기적인 행위다. 다른 수컷과의 짝짓기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서 곤충 세상에는 장시간 교미를 하는 경우가 흔하다. 러브버그는 외국에서 침입한 종이 아니며 갑작스레 발생한 현상도 아니고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지도 않는다. 오뉴월 계곡 주변에서 언제든 관찰할 수 있다.

 

숲의 분해자 역할을 하는 러브버그
 

단칼곤충기

▲ 계피우단털파리. 짝짓기를 마치고 죽은 사체가 즐비하다. ⓒ Daankal Eastolany
 

 

사랑벌레 유충은 낙엽을 비롯한 유기물을 먹어치워 숲의 분해자 역할을 한다. 올해 6월까지 가뭄이 이어지다가 며칠 사이에 장맛비가 내리면서 생육환경이 맞아떨어져 대량발생했다. 러브버그는 사람에게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다.

모기처럼 물지도 않고 파리와 같이 전영병을 옮기지도 않는다. 다만 우리의 감정을 건드리기 때문에 이상 증식하면 미움을 한 껏 받는다. 사람의 감성과 이성은 별개의 문제라 아무리 타당한 설명과 해석이 주어지더라도 징그러움을 없앨 수는 없다.

생략 : 특히나 여성들이 벌레를 싫어한다. 아마도 진화적인 이유로 일정 부분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벌레가 많이 꼬이는 경우는 부패하는 동물의 사체, 오염된 물, 썩은 음식 등이다. 불결한 환경에 노출되면 아이를 키워야 하는 엄마의 입장에서는 질병에 감염될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곧 위험을 피하기 위한 방어기제로서 우리의 목숨을 위협하는 독사와 벌레를 피하도록 진화했다.

 

단칼곤충기

▲ 짝짓기 중인 사랑벌레(lovebug) 오른쪽 겹눈이 크고 붙어 있으면 수컷이고 왼쪽의 겹눈이 떨어진 개체가 암놈. ⓒ Daankal Eastolany
 

 

서울 은평구 통일로 연서시장에서 어묵 가게를 하고 있는 김명희(64)씨의 말이다.

"저번 주 목요일부터 4일 동안 가게문을 닫았어요. 희한해요. 아침 9시에는 새까맣게 날아다니다가 11시를 넘기면 다 사라지거든요. 분식을 팔기 때문에 오픈 전에는 비닐을 덮어서 파리를 막고 있어요. 식초에 물을 타서 뿌리면 효과가 있다고 해서 실행해 봤는데 아무런 소용이 없더라구요. 지금은 모기향을 여러군데 피워 놓고 있습니다만 효과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길어봤자 5일이면 사그러든다.
짝짓기 후 암놈은 100 ~ 300개의 알을 식물성 유기물 주변에 낳는다. 애벌레는 흙색에 듬성듬성 털이 나 있고 꾸물꾸물 구더기처럼 움직이므로 인간 친화적인 모습이 아니다. 알은 2 ~ 4일 후에 부화하여 썩어가는 식물질을 먹고 살며 약 4개월 후에 번데기로 변신했다가 일주일 후면 성충으로 탈바꿈한다. 종에 따라서는 애벌레로 겨울을 나기도 한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계속해서 좋은 기사를 쓸 수 있습니다.

▲ 털파리과 애벌레. 썩어가는 식물질을 먹는 환경미화 곤충이다.

ⓒ Daankal Lee
 

 

어른벌레의 수명이래봤자 3 ~7일 정도라서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면 저절로 없어진다. 오히려 살충제를 뿌리는 것이 인간과 환경에 더 안 좋은 선택일 수 있다. 길어봤자 러브버그가 활동하는 기간은 10일 정도 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럴 일은 없겠지만, 이 무더운 여름날 생존 필수템인 에어컨 실외기에 러브벌레가 새까많게 들러붙으면 냉방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번 기회에 실외기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도록 할 것이며, 시장 상인의 입장에서는 손님이 기피하는 요인이 되므로 포충기를 설치하고 벌레가 틈입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하면 된다.

허약한 놈들이라 방충망을 뚫지는 못한다. 창문의 벌어진 틈새, 전깃줄을 내기 위해 뚫은 구멍으로 옥내에 들어오므로 단속을 잘해두면 괜찮다. 부득이하게 방충망이 없는 창문을 열 때는 선풍기를 틀어서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면 된다.

2020년에는 은평구 봉산 일대에 대벌레가 창궐하여 불편함을 주었고 2019년에는 질병관리청에서 화상벌레(청딱지개미반날개) 주의보를 내렸었다. 수 삼년 전에는 밤누에산누에나방이 대량발생 하였으며 뒤를 이어서 매미나방의 습격이 있었고 갈색여치도 엄청난 수로 불어나 불쾌함을 주었다. 매년 예상치 못했던 곤충의 이상 증식이 계속되고 있다.

 

단칼곤충기

▲ 검털파리의 짝짓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털파리과 10여 종 가운데 하나인 검털파리. 계피우단털파리와는 달리 등판도 까맣다. ⓒ Daankal Eastolany
 

 

스마트폰으로 연결된 빅 데이터의 시대다. 모니터링을 통해 범랍의 조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일반 시민들도 참여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책을 고민한다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략 : 우리의 이기심을 이용하면 모니터링을 통해 범람의 조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이미 관련 앱이 있으나 사람의 선의에 기대는 한계 때문에 유명무실하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모니터링에 대한 유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인스타그램이나 카톡 등)에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업로드하면 커피 쿠폰이나 마일리지를 주는 방식, 또는 고궁이나 박물관 등을 무료 관람 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자본주의 세상은 사람의 호의로 돌아가지 않는다. 소소한 보상이 주어지면 우리의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 개개인의 이기심이 모이면 세상은 더 발전한다. 남들보다 더 잘 살자고 하는 욕심이 지금의 인류문명을 만들었다.

 

해당 기사는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로서 여러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원고료로 후원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모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러브버그, 사랑벌레, 털파리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