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세상의 도예가, 큰호리병벌의 집짓기
조선 막사발의 원류 큰호리병벌의 집짓기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조선의 막사발과 찻잔은 일본 전국시대에 성 하나와 맞바꿀 만큼 귀한 문화재였다. 오다 노부나가는 찻잔을 지방 영주(다이묘)에게 주며 군신의 징표로 삼았다. 쿠데타로 노부나가는 죽고, 곧바로 정권을 탈취한 토요토미 히데요시도 막사발 정치를 계속 이어갔다. 히데요시는 찻잔으로 정적을 회유하거나 인재를 얻기 위해 상으로 내렸다. 다이묘들은 전쟁 중에도 조선 막사발을 품고 다니면서 술을 따라 마셨을 정도로 귀중히 여겼다.

히데요시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일으켜 조선의 많은 옹기장이를 일본으로 잡아 갔다. 도공을 가장 많이 끌고간 지역은 사쓰마, 초슈번 이었으며 도재기공을 통해 불가마와 제철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켜 막대한 부를 쌓았다. 조선 원류의 도자기가 유럽으로 수출되어 큰 인기를 얻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도자기를 배에 실을 때 파손을 막기 위해 목판으로 대량생산한 풍속화(우키요에)로 감쌌는데, 이것이 당대 유럽 예술가들에게 센세이션을 일으킨다.

이브 탕기,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에밀 졸라, 에두아르 마네 등이 우키요에의 영향을 받아 나중에 인상파를 낳게 된다. 사실 우키요에의 기원도 신윤복과 김홍도의 산수화가 그 시작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태동한 대중예술의 큰 흐름에서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계속해서 좋은 기사를 쓸 수 있습니다.

▲ 조선 막사발의 원류 큰호리병벌의 집짓기

ⓒ Daankal Lee
 

 

히데요시가 죽고나서 전국시대를 끝내는 세키가하라 전투가 벌어지고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쓰는 에도 막부를 연다. 사쓰마와 초슈번은 이 교전에서 패하여 지배층에서 떨어져나가지만, 19세기에 들어와 연합(사쵸 동맹)하여 막부를 무너뜨리고 일본 근대화의 물꼬를 트니 이것이 메이지 유신이다.

역사는 흘러가며 쵸슈번 출신의 이토 히로부미를 낳고 현대에 이르러 아베 총리가 나왔다. 오시마 요시마사는 아베 신조의 고조부, 명성왕후를 시해 한 이노우에 가오루도 쵸슈번 태생이다. 전범들을 합사한 모아놓은 야스쿠니 신사도 쵸슈번이 세웠다. 아니러니하게도 조선의 발전된 문명이 일제강점기라는 치욕의 역사를 만들어내었으니 그 시작이 바로 도자기였다. 당시의 도예품은 지금의 반도체와 같이 최첨단의 기술이었다.

 

 

 

첨단의 옹기장이 큰호리병벌.
곤충 세상에도 눈부신 도예가가 있으니 흙으로 항아리 모양의 벌집을 만드는 호리병벌 종류다. 배의 생김새까지 옹기를 연상시켜서 영명으로도 옹기말벌(potter wasp)이라고 부른다. 이 중에서 큰호리병벌은 달걀 만한 벌집을 만드는데 이 속은 여러개의 방으로 칸막이가 쳐져 있다.

 

큰호리병벌

▲ 큰호리병벌의 육아방 호리병 모양의 벌집을 예닐곱개 이어서 짓고 외벽을 말끔하게 미장한다.

ⓒ Daankal iEE
 

어미는 각 육아방 마다 마취시킨 자나방 애벌레를 잡아다 넣고 알을 낳는다. 부화한 유충은 자나방 애벌레를 파먹고 성충으로 자라난다. 예닐곱개의 방을 만드는데 성충으로 자라나는 경우는 두 마리 정도에 불과하다. 청벌류가 기생하기 때문이다.

큰호리병벌이 집을 지으면 왕청벌이 찾아와 흙집을 뚫고 자신의 알을 깐다.왕청벌의 꽁무니에는 돌기가 있어서 흙을 부수는 도구로 쓴다. 깨어난 왕청벌 유충은 자벌레와 큰호리병벌 애벌레를 먹고 금방 성충으로 자라난다. 기생을 피한 큰호리병벌 애벌레는 흙집 속에서 번데기가 되고 이듬해 3월 경에 어른벌레가 된다.

 

왕청벌

▲ 금속성 느낌의 갑옷이 화려한 왕청벌 말벌과에 속한 호리병벌과 감탕벌에 기생한다.

ⓒ Daankal iEE
 

큰호리병벌의 몸 길이는 30mm 정도까지 자라며 위협적인 모습이지만 사납지는 않다. 예민한 녀석이라 위험하다 싶으면 집짓기를 포기하고 다른 곳으로 날아가기도 한다. 어미는 자신의 침과 물을 이용해 팥알 만한 흙 알갱이를 만들어 부지런히 나른다. 벌집을 만들려면 수백 차례 흙경단을 운반해야 하므로 무척이나 고된 일이다.

안전한 장소라고 여기면 약 한달에 걸쳐서 집을 짓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더 짧아진다. 집 짓는 장소는 뜨거운 햇볕을 막고 빗물이 들어차지 않는 처마 밑 벽면이나 벽돌 틈의 빈 공간이다. 나뭇가지에 항아리 모양의 방을 만드는 경우도 많다. 벌집이 완성되더라도 어미는 바로 떠나가지 않고 며칠 간 미장한 외벽에 물방울을 묻혀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이렇게 빚어진 진흙 육아방은 매우 단단하여 빗물을 맞아도 잘 부서지지 않는다.

민호리병벌도 같은 방법으로 육아방을 만든다. 다만, 여러개의 방이 아니고 사찰의 창살문이나 식물 줄기 등에 하나만 빚어낸다. 진흙으로 집을 짓는 또 다른 벌로는 애황나나니가 있다. 구멍벌과에 속한 녀석으로 사마귀 알집과 비슷한 타원형 진흙집을 짓는다. 영명으로는 진흙미장이(mud dauber)라고 한다. 생태는 호리병벌과 비슷하며 몸집은 20mm 정도의 크기다.

 

 

 

해당 기사는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로서 여러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원고료로 후원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모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큰호리병벌, 왕청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