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접사 찍는 법 : 곤충 초접사 촬영 노하우 9가지 상편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2019년 [월간사진] 12월호에 소개된 단칼의 인터뷰다. '초접사 찍는 법'으로서 9가지의 촬영 노하우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초접사는 작은 대상을 현미경처럼 확대해서 촬영하는 장르다. 영어로는 Extreme Macro 또는 Super Macro 라고 한다. 아래는 월간사진 오찬석 에디터가 작성한 기사 전문이다. (ocs2117@naver.com)

 

 

2010년부터 무려 10년간 곤충 초접사를 촬영해온 이상헌. 그가 지금까지 촬영한 곤충만 해도 무려 수천 종에 달한다. 오랜 기간 진화를 통해 갖춰진 곤충의 자연적인 조형미를 압도적인 디테일로 탐구하는 것. 그런 그가 전하는 초접사에 대한 특별한 노하우.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

▲ 줄육니청벌 ⓒ Daankal Lee
 

 

 

초접사 화보 도감

▲ 대왕나비 애벌레 ⓒ Daankal Lee
 

 

 

비글스쿨

▲ 빌로오도재니등에 ⓒ Daankal Lee
 

 

 

자연과생태

▲ 맵시벌 ⓒ Daankal Lee
 

 

TIP1. 카메라는 APS-C 포맷, 렌즈는 60mm 마크로
초접사를 시작하려면 장비부터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보통 이미지센서가 크면 클수록 좋다고 생각하지만, 초접사 분야에서만큼은 예외다. 동일한 배율로 촬영하는 경우 센서가 작을수록 프레임 내의 피사체가 더욱 크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또한 피사체를 프레임 내에 동일한 사이즈로 배치하는 경우 이미지센서가 작을수록 피사계심도가 깊다.

초접사의 경우 심도가 극단적으로 얕게 표현되므로 이 차이를 무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형 풀사이즈보다 APS-C 포맷 카메라가 접사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그리고 렌즈는 마크로 촬영을 지원하는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마크로렌즈는 보다 더 가까운 곳까지 초점을 잡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크로렌즈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실상 초접사는 불가능하다. 이때 초점거리는 60mm가 가장 적당하다. APS-C 포맷에서 60mm는 왜곡과 색수차가 거의 없으며 무엇보다 화질이 가장 뛰어나다. 이보다 망원 계열을 사용하면 접사 배율이 떨어져 작은 대상을 크게 표현하기 힘들고, 광각 계열을 사용하면 피사체에 다가가기 어렵다.

초접사가 아닌 적당한 수준에서 크게 담아도 상관없다면 90mm나 100mm를 사용해도 괜찮다. 또한 멀리 있는 대상을 촬영할 때는 180mm를 사용하기도 한다.

 

Super Macro

▲ 소형 풀사이즈 포맷 카메라와 익스텐션 튜브 3개를 사용해서 1배 촬영 배율(피사체와 촬영비 1 :1 )로 촬영한 사진의 조리개별 심도 변화
 

 

Extreme Macro

▲ 같은 조건에서의 APS-C 카메라 결과. 두 결과를 비교해보면, 피사체를 더 크게 그리고 피사계심도를 더 깊게 표현하기에는 소형 풀사이즈보다 APS-C 포맷이 더 유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IP2. 초접사 위해 촬영배율을 고려하라
초접사 사진의 매력은 디테일에 있다. 눈으로 보기 힘든 작고 미세한 질감들을 큰 사이즈로 선명하게 표현할 때, 사진에 압도적인 느낌을 더할 수 있다. 초접사는 일반적인 접사보다 훨씬 더 높은 배율을 요구하므로 마크로렌즈는 물론, 접사 배율을 높여주는 별도의 장비를 함께 사용한다. 곤충 초접사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는 ‘익스텐션 튜브’다.

이 장치는 렌즈와 마운트 사이에 빈 공간을 만듦으로써 상거리(제 2주점부터 초점면까지의 거리)를 늘리는 방식으로 고배율 촬영이 가능하도록 만든다. 대신 상거리가 멀어지는 만큼 노출 부족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보정이 요구된다. 익스텐션 튜브는 몇 개씩 겹쳐서 사용할수록 촬영 배율이 높아진다.

화질 저하가 적고, 내구성이 좋고, 살아있는 생물에게 조용히 다가가기 유리하다. 이 외에도 필드에서 사용하기는 어렵지만 렌즈와 마운트 사이에 주름상자를 위치시켜 상거리를 조절하는 ‘벨로우즈’가 있고, 화질은 매우 떨어지지만 렌즈 전면에 마운트하는 방식으로 저렴한 가격에 접사 배율을 높여주는 ‘클로즈업 렌즈’ 등의 장비가 있다.

 

 

카메라

▲ 이중 초접사를 위해 가장 권장하는 장비는 익스텐션 튜브이다.

 

 

 

TIP3. 특명, 그림자 없는 이미지 만들기
초접사 촬영에서 플래시 사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렌즈가 피사체에 매우 가까이 접근하는 만큼 불필요한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순간광인 만큼 피사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연색성으로 보다 풍부한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초접사에서 가장 베이식한 조명법은 발광면적을 넓게 만들어 그림자 없이 깔끔하게 촬영하는 것이다.

접사에서 링 플래시를 선호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링 플래시는 대물렌즈를 따라 원형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돼 있다. 이것을 사용하면 그림자 없이 작은 대상을 촬영하기 쉽다. 하지만 일반접사를 할 때 종종 사용되는 고속동조는 불가능하고, 무선동조 역시 불편하다. 즉, 링 플래시가 능사는 아니라는 말씀.

그런 이유로 많은 접사 사진가들은 소형 플래시에 액세서리를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피사체를 충분히 덮을 정도로 발광 면적을 늘려주고, 약간 하단으로 빛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액세서리라면 충분하다. 이상헌 사진가는 플래시에 옴니바운스를 장착해 빛의 조사각을 늘리고, 전면에 발포 스티로폼을 위치시켜 발광 면적을 넓힌다.

 

DSLR

▲ DIY 디퓨저. 옴니바운스와 발포 스티로폼을 이용해 소형 플래시의 발광 면적을 넓혔다.

 

 

 

TIP4. 너무 가까이 가도 문제, 멀리 가도 문제
일반적인 촬영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초접사에서만큼은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접사링을 사용하여 피사체에게 너무 다가가면 렌즈가 대상에 닿을 수 있다. 이경우 곤충은 바로 도망친다. 힘들게 찾은 피사체가 순식간에 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반면, 너무 멀리서 촬영하면 접사 배율이 떨어진다.

화면에 가득 차지 않으니 상황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크롭을 감행해야 할 때도 있다. 초접사에서는 디테일을 살리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크롭은 가급적 권장하지 않는다. 적당한 작업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익스텐션 튜브를 사용할 때는 5-8cm까지 가까이 다가가기도 한다.

이 경우 자칫하면 곤충이 달아날 수도 있으니 항상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절대적인 수치는 존재하지 않으며 피사체나 촬영 스타일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촬영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감이 생긴다.

 

자연과생태 비글스쿨

▲ 작업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지만, 익스텐션 튜브를 장착하는 경우 이상헌은 보통 5~8cm 작업 거리를 유지한다.

 

 

 

 

다음과 같이 사진 작업을 위한 전체적인 흐름을 알려드립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계속해서 좋은 기사를 쓸 수 있습니다.

▲ 카메라 설정과 사진 편집을 위한 컴퓨터 세팅 ⓒ Daankal Eastolany

 

 

 

▲ 카메라 설정과 사진 편집을 위한 컴퓨터 세팅 ⓒ Daankal Eastolany

 

 

 

▲ 카메라 설정과 사진 편집을 위한 컴퓨터 세팅 ⓒ Daankal Eastolany

 

 

 

▲ 카메라 설정과 사진 편집을 위한 컴퓨터 세팅 ⓒ Daankal Eastolany

 

 

 

해당 기사는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로서 여러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원고료로 후원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모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초접사 촬영 노하우 다음